2018.03.08 - Module 08:백업
백업
1> 백업( Backup)이란?
- 서버의 핵심인 데이터의 보호는 관리자에게 가장 중요한 임무.
- 백업을 사용하여 하드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의 복사본을 만든 다음
그 데이터를 다른 저장 장치에 보관할 수 있다.
- 백업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데이터 손실을 예방한다.
- 단순히 C:\ => D:\ 이런 방식이 아닌, A pc => B pc or 다른 지역에 백업
- Database
ex> oracle, MySQL, MS-SQL, MariaDB, SQL lite
* 백업 전에 결정할 사항:
- 어떤 도구 이용, 누가 백업?
- 어떤 정보(Data or System) 백업?
- 얼마나 자주 Backup? (빈도 결정)
- 네트워크 백업 수행해야 할 경우 - 네트워크 백업으로 인한 장.단점 확인.
2> 백업 작업 과정
- 백업 대상 데이터의 목록 작성:
백업 데이터 크기
백업 또는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
- 백업 일정 수립
- 백업 종류 선택
- 백업 장치와 미디어 선택:
얼마나 오랫동안 백업 유지?
어디에 백업 저장?
3> 백업 일정 수립
백업 일정에 영향 미치는 요소:
얼마나 자주 데이터 변경?
...
4> 데이터 보존 계획 수립
- 데이터를 얼마나 오랫동안 보존?
법률상으로 요구하는 기간이 회사마다 다르다.
미디어 수명
-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
- 데이터 저장소 구입 비용
- 어떤 소프트웨어 도구가 데이터 보존 기능을 지원?
5> 백업의 종류
보관가능 특성 제거 여부
- Normal or Full (보통/전체 백업) ○
- Copy(복사백업) × => 보관가능 특성 유지
선택한 모든 파일 백업
- differential(차등백업) ×
- Incremental(증분백업) ○
백업이나 증분백업을 마지막으로 수행 후
만들어지거나 변경된 파일 백업
- Daily(매일백업) ×
매일 백업이 수행되는 당일에 수정된 파일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을 모두 백업
~= 증분
cf. 차등, 증분 :
공: 보관가능 특성이 체크된 애들만 백업해줌
차: 보관가능 특성 유지가 달라지므로,
차등백업은 보관가능 특성 유지가 체크된 애들만 꾸준히 백업해주고
증분백업의 경우 보관가능 특성이 모두 유지되 있으므로 꾸준이 용량이 증가하면서 백업됨
6> 실습
디스크1, 2 에 primary partition 만들기~!
[cmd]
DISKPART> sel disk 1
1 디스크가 선택한 디스크입니다.
DISKPART> cle
DiskPart에서 디스크를 정리했습니다.
DISKPART> create par pri
DiskPart에서 지정한 파티션을 만들었습니다.
DISKPART> ass
DiskPart에서 드라이브 문자 또는 탑재 지점을 할당했습니다.
DISKPART> format quick
100 퍼센트 완료
DiskPart가 볼륨을 성공적으로 포맷했습니다.
DISKPART> sel disk 2
2 디스크가 선택한 디스크입니다.
DISKPART> cle
DiskPart에서 디스크를 정리했습니다.
DISKPART> cre par pri
DiskPart에서 지정한 파티션을 만들었습니다.
DISKPART> ass
DiskPart에서 드라이브 문자 또는 탑재 지점을 할당했습니다.
DISKPART> format quick
100 퍼센트 완료
DiskPart가 볼륨을 성공적으로 포맷했습니다.
DISKPART> format quick
[실습]
1) C:\Program Files (x86) => E:\
2) 실행(window+r) : wbadmin.msc
3) 백업 도구 설치
=>image
4) 실행 : wbadmin.msc
0> 전체 백업
* 1> 한번 백업 => 내 pc local F:\
* 2> 한번 백업(공유폴더?) => DC
- snapshot 처음으로 돌려주기 (DC 쌤 계정으로 도메인 가입 되있는데.., 얘랑 뭔 상관?)
- DC 서버 공유폴더 생성 => \\DC\백업공유폴더
* 3> SRV에서 한번백업, 공유폴더는 DC 에 경로로 지정
- 사무실에 직원 pc들 백업 할때?
=> 백업 계속 실패~!!!!!!!!!!!!!!!!!!
** 4> 복원
- E:\ 데이타 삭제 => srv?
- 복구 도구> 복구 탭 클릭
- 백업날짜> 시간: 앞에 시간 선택
복구 가능한 항목: E:
- 복구마법사> E:\ 선택
- 복구 진행률> 복구
5> srv 데이타 지운후, DC에 있는 백업파일로 데이타 복원해 보기!
=> 네트워크를 통한 복구
- 시간: 뒤에 시간 선택
3) 백업 도구 설치
4) 실행 : wbadmin.msc - [Windows Server 백업(로컬)\로컬 백업]
4-0> 전체 백업
* 4-1> 한번 백업 => 내 pc local F:\
* 4-2> 한번 백업(공유폴더?) => DC
- snapshot 처음으로 돌려주기 (DC 쌤 계정으로 도메인 가입 되있는데.., 얘랑 뭔 상관?)
- DC 서버 공유폴더 생성 => \\DC\백업공유폴더
* 4-3> SRV에서 한번백업, 공유폴더는 DC 에 경로로 지정
- 사무실에 직원 pc들 백업 할때?
=> 백업 계속 실패~!!!!!!!!!!!!!!!!!!
** 4-4> 복원
- E:\ 데이타 삭제 => srv?
- 복구 도구> 복구 탭 클릭
- 백업날짜> 시간: 앞에 시간 선택
복구 가능한 항목: E:
- 복구마법사> E:\ 선택
- 복구 진행률> 복구
4-5> srv 데이타 지운후, DC에 있는 백업파일로 데이타 복원해 보기!
=> 네트워크를 통한 복구
- 시간: 뒤에 시간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