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정oI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19)
회사 - pj # 나라원 (1)
회사 - pj # 나라원 (2)
이직준비 (10)
국비-클라우드 (1)
학점은행제 (0)
취미 (0)
주식 (0)
외국어 (0)
자격증 (14)
Azure (1)
AWS (1)
AWS_2 # 강의 (0)
LPIC (7)
리눅스마스터1급 (1)
ADSP (2)
네트워크관리사2급 (0)
정보통신기사 (1)
CCNA (1)
BigData_On (1)
BigData_Off1 (74)
클라우드 (0)
언어_Framework (1)
언어-Server (2)
언어_Client (0)
업무 (1)
IT참고서적 (1)
IT 최신 트랜드 (0)
제테크 (1)
Study Plan (2)
동영상 및 자료 (5)
여행 (1)
git (0)
Total
Today
Yesterday

'자격증/LPIC'에 해당되는 글 7건

  1. 2018.01.07 expand
  2. 2018.01.07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3. 2018.01.07 xargs 사용법
  4. 2018.01.06 find 명령어 사용법
  5. 2018.01.06 /dev/null 2>&1 의 의미
  6. 2018.01.01 101 test 관련
  7. 2017.12.13 정보

expand

자격증/LPIC / 2018. 1. 7. 00:43
반응형
SMALL
리눅스 expand
/usr/bin/expand
  • 탭 크기를 지정하여 출력하는 리눅스 명령어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1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2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3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4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5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6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7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8
Hi Hello World
root@zetawiki:~# echo -e "Hi\tHello\tWorld" | expand -t 9
Hi       Hello    World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0) 2018.01.07
xargs 사용법  (0) 2018.01.07
find 명령어 사용법  (0) 2018.01.06
/dev/null 2>&1 의 의미  (0) 2018.01.06
101 test 관련  (0) 2018.01.01
Posted by 오정oI
, |
반응형
SMALL

리눅스 명령어)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리눅스에서 환경변수로 export 쓰고 출력하기위해 나 echo를 사용한다.


그래서 export 와 echo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리눅스 쉘에서 


export [변수명]=[데이터값]


을 해주면 된다. 


하지만 이떄 변수명과 데이터값 사이에 있는 =과 띄워쓰기를 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띄워쓰기를 하면 = 을 데이터로 인식하여 오류가 난다.


예로 hell이라는 변수에 hello_hell 이라는 문자열을 넣고 싶으면


요렇게 하면 된다.


이제 출력 할려면 echo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echo 명령어 사용법은


echo [출력할 데이터]


입니다. 근데 데이터값에 변수를 입력 해도 변수명이 나오는데요???


echo는 변수를 출력하는 명령어 이기떄문에 


echo $[변수명]


이렇게 써주셔애 합니다.


이 명령어도 export 처럼 $과 변수명 사이에 공백이 있으면 안됨니다.



네 이렇게 간단하게 export와 echo의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and  (0) 2018.01.07
xargs 사용법  (0) 2018.01.07
find 명령어 사용법  (0) 2018.01.06
/dev/null 2>&1 의 의미  (0) 2018.01.06
101 test 관련  (0) 2018.01.01
Posted by 오정oI
, |

xargs 사용법

자격증/LPIC / 2018. 1. 7. 00:08
반응형
SMALL

# xagrs 사용하기


서버 운영을 하다 보면 다양한 파일 목록을 추출해서 삭제, 복사 등을 해야 할때가 있다

이런 작업을 단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명령어가 xargs이다. 


보통 기본적인 명령어(find, ls, cat) 뒤에 파이프로 추가하여 사용함 

간단히 설명하면 파이프 이전의 내용을 인자로 받아 명령어를 실행하는 구조


기본적인 사용법은

xargs [-0prtx] [-e[eof-str]] [-i[replace-str]] [-l[max-lines]] [-n max-args] [-s max-chars] [-P max-procs] [--null] [--eof[=eof-str]] [--replace[=replace-str]] [--max-lines[=max-lines]] [--interactive] [--max-chars=max-chars] [--verbose] [--exit] [--max-procs=max-procs] [--max-args=max-args] [--no-run-if-empty] [--version] [--help] [명령 [기본인수]]  


ㅋㅋ 거참 길다 옵션이나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면 아래 페이지에 가서 찾아보고

http://man.kldp.net/wiki/ManPage/xargs.1 


# 간단한 사용법

 - find를 이용하여 mtime이 30일 이상된 파일들을 ..bak으로 바꾸기

$ find . -mtime +30 | xargs mv -i {} {}.bak  


 - find를 이용하여 *.mp3 파일을 지우기

$ find . -name '*.mp3' | xargs rm 


 - ls 를 이용해서 text 파일 목록을 가져온 뒤 각각의 파일내용을  cat으로 읽고 병합파일 만듬

$ ls *.txt | xargs cat >> abc.merge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하다보니 find명령어랑 많이 쓰게 되는데 find 명령어의 -exec를 이용해도 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find의 -exec는 명령의 인자   argument too long (메시지 정확치 않음 발생함 

그리고 find  exec 구문에 비해서 명령을 수행시키는 횟수를 현격히 줄일  있기 때문에 유리함

그래서 xargs를 이용하는 편이 속시원한 옵션에 한번에 처리할수 있는 개수를 지정하는 옵션도 있음 


추가로 kldp에 xargs 관련 질문에 달린 고급 정보


[find 삭제의 예에서 exec 사용할 경우 찾아낸 하나 하나 파일 마다 rm명령어가 실행되어

서브 프로세스가 생성됩니다.

그러므로 pc에서의 적은양의 파일을 삭제  경우엔  문제가 없지만서버 급과 같은 곳에서 많은 파일들을 처리  경우 문제 퍼포먼스에 문제가 있을  있다고 들었습니다. ( IBM 포럼?에서)

그리고 xargs 역시 처리할수 있는 인자 수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sysctl 에서 확인해 보면 된다고 하네요제가  기사에서는 655xx 문자(바이트였던거 같습니다.

그래서 find  삭제시에는 find 자체에 있는 -delete 스위치(옵션 철자 틀릴  있음 사용해서 지우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고 언급하고 있었습니다.]


끝~!


참고사이트

http://man.kldp.net/wiki/ManPage/xargs.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yang6&logNo=30047770322

http://kldp.org/node/40182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uner84&logNo=100147831887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and  (0) 2018.01.07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0) 2018.01.07
find 명령어 사용법  (0) 2018.01.06
/dev/null 2>&1 의 의미  (0) 2018.01.06
101 test 관련  (0) 2018.01.01
Posted by 오정oI
, |
반응형
SMALL

find 명령어 사용법

 

find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에서 주어진 조건으로 파일을 찾는다. 

사용법을 살펴보자. 
find 대상디렉토리 검색 조건 처리 방법 
  

대상 디렉토리 : 찾기를 시작할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검색 조건 : 찾을 조건을 지정한다. 
-name filename 파일 이름으로 찾는다. 
  
-atime +n access time 이 n일 이전인 파일을 찾는다. 
-atime -n access time이 n일 이내인 파일을 찾는다. 
-mtime +n n일 이전에 변경된 파일을 찾는다. 
-mtime -n n일 이내에 변경된 파일을 찾는다. 
-perm nnn 파일 권한이 nnn인 파일을 찾는다. 
-type x 파일 타입이 x인 파일들을 찾는다. 
-size n 사이즈가 n이상인 파일들을 찾는다. 
-links n 링크된 개수가 n인 파일들을 찾는다. 
  
-user username user이름으로 찾는다. 
  
-group groupname group 이름으로 찾는다. 
  

처리방법 : 찾은 파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print 찾은 파일의 절대 경로명을 화면에 출력한다. 
-exec cmd {}\;  찾은 파일들에 대해 cmd 명령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보자. 
$ find /user4 -name test* -print 
  
/user4 아래에서 파일이름이 test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찾아서 화면에 보여준다. 

$ cd / 
$ find . -name ping -print 
  
root 디렉토리 밑에서 파일이름이 ping인 파일을 찾아 절대 경로명을 화면에 출력한다. 

$ cd / 
$ find /usr -name *.c -print 
  
/usr 밑에 이름이 .c로 끝나는 모든 파일들을 찾아 경로명을 보여준다. 

$ cd / 
$ find $home -name who.txt -print 
  
home 디렉토리 아래에 who.txt라는 파일을 찾아 경로명을 보여준다. 

$ cd / 
$ find . -type d -print 
  
파일 타입이 d인 파일을 찾아 경로명을 화면에 출력한다. 

$ cd / 
$ find /dev -type c -print 
  
/dev디렉토리 아래에서 파일 타입이 c인 파일을 찾아 경로명을 보여 준다. 

$ cd / 
$ find . -perm 700 -print 
  
파일 권한이 700인 파일을 찾아준다. 

$ cd / 
$ find . \ ( -perm 400 -o -perm 200 ) -print 
  
파일 권한이 400인 파일과 200인 파일을 찾아준다. 
(주의 : “\”의 앞뒤에 space 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 cd / 
$ find . -size +1024 -print 
  
파일의 블럭 크기가 1024 이상인 파일을 찾아준다. 

$ cd / 
$ find . -name core -size +2048 -print 
  
파일 이름이 core이고 크기가 2048블럭 이상인 파일을 찾아준다. 

$ cd / 
$ find . -user unix01 -print 
  
파일 소유자가 unix01인 파일을 찾아준다. 

$ cd / 
$ find . -group unix -print 
  
사용자그룹이 unix인 파일을 찾아준다. 

$ cd / 
$ find . -atime +30 -print 
  
30일 이전에 억세스되었던 파일을 찾는다. 

$ cd / 
$ find . -mtime -7 -print 
  
7일 이내에 수정된 적이 있는 파일을 찾는다. 

$ cd / 
$ find . -name core -exec ls -l {} \; 
  
이름이 core인 파일을 찾아서 ls -l 한다. 

$ cd / 
$ find . -name \*.c -atime +30 -exec ls -l {} \; 
  
30일 이전에 억세스된 파일 중 *.c를 찾아 ls -l 한다. 

$ cd / 
$ find . -name core -exec rm -i {} \; 
  
현재 디렉토리 밑에서 이름이 core인 파일을 찾아 지운다(지우기 전에 정말 지울 지를 물어본다.)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0) 2018.01.07
xargs 사용법  (0) 2018.01.07
/dev/null 2>&1 의 의미  (0) 2018.01.06
101 test 관련  (0) 2018.01.01
정보  (0) 2017.12.13
Posted by 오정oI
, |
반응형
SMALL

/dev/null 2>&1 

만약... 
nohup ${DIR}/bin/scheduler scheduler.ini >scheduler.out 2>&1 & 
으로 한다면은... 에러 메시지(stderr)은 scheduler.out 파일에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바고 
콘솔에다가 뿌려 줍니다. 
이건 stderr(2)이 버퍼를 이용하지 않고 에러가 생기는 즉시 바로 출력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2>&1 리다이렉션을 시켜 줌으로 인해 stderr > stdout 으로 출력이 되고 
scheduler.out 파일에 에러 메시지가 저장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 
2 >&1 의 의미. 

n >&m: 표준출력과 표준에러를 서로 바꾸기. 
0, 1, 2는 각각 표준입력, 표준출력, 그리고 표준에러를 의미합니다. 

2>&1의 의미는 표준 출력의 전달되는 곳으로 표준에러를 전달하라라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Bourne쉘 연산자이기 때문에 csh에서는 사용할 수 없답니다. 

------------------------------------------------------------------------- 

 if ( ls -l $0 | grep $LOGNAME >/dev/null ) 
    여기서 /dev/null로 리다이렉션하는건 무었을 의미하나요? 

표준출력을 버리라는 뜻입니다. 이 부분에서 grep 명령을 사용하는 것은 
걸리는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려는 것이 아니라 걸리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 알아내어 별도의 작업을 하려는 것이고 화면에 뭔가가 "뿌려지는" 
것은 막자는 것이죠. 

이런 용도로 grep을 사용할 때, -q, -s 등의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an grep. 

 nohup ${DIR}/bin/scheduler scheduler.ini >scheduler.out 2>&1 & 

 여기서 2>&1 & 은 무얼 의미하나요? 

앞부분의 "2>&1"은 표준오류 스트림을 표준출력으로 돌리라는(?) 뜻입니다. 
그냥 ">"를 기준으로 보면 "2"를 "&1"로 보내라는 뜻인데, 여기서 "2"는 
표준오류 스트림을 나타내는 번호이고 "1"은 표준출력을 나타내는 번호입니다. 
마지막 "&" 는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라는 뜻이구요.  

>/dev/null 은 출력을 /dev/null로 하겠다는 소리입니다. 
즉 출력이 안보이겠죠. 

>&1이 의미하는 것은 출력을 표준 출력에다가 하겠다는 소리입니다. 
<&0은 당연히 표준 입력이 되겠죠. 
------------------------------------------------------------------------- 
이렇게 해서 열흘 이상 지난 파일들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셸 스크립트를 완성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최근 열 개 까지의 날짜 디렉토리를 남겨 두고 나머지를 삭제하는 거겠군요. 
이제 휴지통에 신경을 덜 써도 될 것 같습니다. 
#!/bin/sh 

cd ~/.Trash/ 
mytrash=`date +%F` 

mkdir ${mytrash} >/dev/null 2>&1; 
mv * ${mytrash} >/dev/null 2>&1; 
mv ${mytrash}/20??-??-?? . >/dev/null 2>&1; 

for dir in `ls -1d 20??-??-?? | sort -r | tail -n +11` 
do 
        rm -rf "${dir}" 
done 
[이 게시물은 아쿠아님에 의해 2007-05-05 13:50:47 시스템자료실에서 이동 됨]
 

출처: http://reebok.tistory.com/56 [BLOG]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0) 2018.01.07
xargs 사용법  (0) 2018.01.07
find 명령어 사용법  (0) 2018.01.06
101 test 관련  (0) 2018.01.01
정보  (0) 2017.12.13
Posted by 오정oI
, |

101 test 관련

자격증/LPIC / 2018. 1. 1. 21:43
반응형
SMALL

구글링 모음

1> X window 설치

잘 안된..,

2> 구글링 : centos 6 : XF86Config 설정

http://se.uzoogom.com/90

3> linux : rpm 명령어 질의모드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7635004

4> ld_library_path 란

http://zeronixo.blogspot.kr/2013/07/blog-post.html

5>$HOME/.xinitrc

http://se.uzoogom.com/90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0) 2018.01.07
xargs 사용법  (0) 2018.01.07
find 명령어 사용법  (0) 2018.01.06
/dev/null 2>&1 의 의미  (0) 2018.01.06
정보  (0) 2017.12.13
Posted by 오정oI
, |

정보

자격증/LPIC / 2017. 12. 13. 12:57
반응형
SMALL
반응형
LIST

'자격증 > L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ort, echo 명령어 사용하기  (0) 2018.01.07
xargs 사용법  (0) 2018.01.07
find 명령어 사용법  (0) 2018.01.06
/dev/null 2>&1 의 의미  (0) 2018.01.06
101 test 관련  (0) 2018.01.01
Posted by 오정oI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