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오정oI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19)
회사 - pj # 나라원 (1)
회사 - pj # 나라원 (2)
이직준비 2 (0)
이직준비 (10)
국비-클라우드 (1)
학점은행제 (0)
취미 (0)
주식 (0)
외국어 (0)
자격증 (14)
BigData_On (1)
BigData_Off1 (74)
클라우드 (0)
언어_Framework (1)
언어-Server (2)
언어_Client (0)
업무 (1)
IT참고서적 (1)
IT 최신 트랜드 (0)
제테크 (1)
Study Plan (2)
동영상 및 자료 (5)
여행 (1)
git (0)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
SMALL

1> Routing & NAT

<실습>

* 기본 설정

 

[pc1]
1) routing
2) GW pc2로 변경 => 172.16.0.12 → 172.16.0.13

[pc2]
1) vm bridged adapter 추가 (총 3개 됨)
   => 인터넷 사용 가능하도록
2) NAT 구성
공용 : 인터페이스 3번 NIC

 

* 목적

1) pc1 - pc2 Routing : ping 확인
2) pc1, pc2 인터넷 가능하게 만들기!


* 작업순서

① snapshot : workgroup
② srv12, srv13, 라우팅 pg 설치
③ srv12 => LAN 라우팅 추가
    srv13 => LAN 라우팅 추가/ NAT 추가
④ srv12 : [cmd] routing,
             gw 설정(ncpa.cpl) => srv12> Eth1 : Default GW : 172.16.0.13
   srv13 : [cmd] routing,
  NAT 설정 => vm bridged 추가,
         공용 인터페이스 설정(Eth2:공용, Eth1, Eth0: 개인)

  ! 주의 : routing pg 설치 후 Ethernet interface 추가 시 설정된거 적용 안되므로

 srv12 껏다가 다시 킬것! (재가동)

⑤ 보조 DNS 추가(168.126.63.1)
: 웹 페이지 띄우는 곳에는 다 추가해야..,

srv12> Eth1,   // 얘는 기본 설정 DNS 서버에 추가해줌
mem12,
mem13
3군데 보조 DNS 서버 란에 모두 추가!

⑥ srv12, mem12, srv13, mem13 : ping, internet 확인!


2> DHCP

* 기본 개념

1)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클라이언트 컴퓨터나 다른 TCP/IP 기반 장치에 IP 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
- IP와 함께 라우터, DNS 서버, WINS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리소스와
  연결할 수 있도록 옵션 제공
- DHCP 클라이언트에 특정 기간 IP를 임대,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IP 주소를 갱신
- 특정 컴퓨터나 장치에 같은 IP 예약 가능 (MAC 주소 알아야.., client같은 경우에는 ip가 없으므로 dhcp를 사용하는데,)

port : UDP 67 (server)
        UDP 68 (client)

cf. WINS 서버 : ip가 아닌 컴퓨터 이름으로 통신. 각 pc당 ip 지정해줌.
nlmlr protocol 대체 (pc - ip 맵핑 학습하는 protocol)
그래서 리소스량 줄일수 있음.
요샌 네트웍 회선이 좋아져서 필요 없음!


2) DHCP 주소 임대 과정 ★★★ 시험 자주 출제됨!

 DHCP Discover

 client to server

 주소를 요청

 DHCP Offer 

 server to client  

 사용할 주소를 제공

 DHCP Request    client to server    제공받는 주소 사용을 승인
 DHCP ACK   server to client    주소 사용 승인

cf. 재갱신의 경우 Request, ACK만 작동. 이미 ip주소 갖고 있으므로..,

ipconfig /release > IP 임대 해제
ipconfig /renew > IP 임대 재요청 or 수동 임대 갱신

 

 <실습>

// DHCP 할당

① srv12, mem12, srv13, mem13 : snapshot to workgroup
② mem12 > ncpa.cpl > Eth0 : DHCP로 바꾸기!(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③ srv12 > 서버 관리자 : DHCP 서버 설치
④ 제어판> 관리 도구> DHCP
!주의 AD로 snapshot 돌리지 말것! (AD 보안정책상 먹통되게 설정되있음)
⑤ 서비스할 주소 범위 만들어주기
특정 ip 다른데서 고정적으로 사용할 때 제외범위 추가?
⑥ mem12에서 ip 할당 받은 것 확인
   [cmd] ipconfig /all

 

// ① srv12, mem12, srv13, mem13 : snapshot to workgroup
// ② mem12 > ncpa.cpl > Eth0 : DHCP로 바꾸기!(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 ③ srv12 > 서버 관리자 : DHCP 서버 설치

// ④ 제어판> 관리 도구> DHCP
!주의 AD로 snapshot 돌리지 말것! (AD 보안정책상 먹통되게 설정되있음)

// ⑤ 서비스할 주소 범위 만들어주기
// 특정 ip 다른데서 고정적으로 사용할 때 제외범위 추가?

// ⑥ mem12에서 ip 할당 받은 것 확인
//   [cmd] ipconfig /all

 

 

// ip 예약

① mem12 mac 주소 복사
② srv12에서 예약 작업 실행
③ mem12 [cmd] 작업 실행

 

// ① mem12 mac 주소 복사 : 요 바로 위 스샷 참고!
// ② srv12에서 예약 작업 실행

// ③ mem12 [cmd] 작업 실행

이미 위 스샷에서 처럼 예약된 거 확인할 수 있는데,

cmd 에서 다음 명령어들 작업 왜 함???

이게 먼저인가?

아닌디..,

반응형
LIST

'BigData_Off1 > 윈도우2'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 DHCP  (0) 2018.03.20
DHCP Relay Agent  (0) 2018.03.19
0315-① Static, ② NAT  (1) 2018.03.15
0314- srvx1, memx1, clix1 셋팅 이후/ 네트워크 구성도  (0) 2018.03.14
0313-OT  (0) 2018.03.13
Posted by 오정oI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