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2.12_3일차-1.Tool 설치|2.컴퓨터 이름 변경|3.IP 주소 설정|4.SnapShot
* 목차
* SRV 기본 정보 및 오늘 수업 진도
admin : administrator
password : P@ssw0rd
1. VMware Tool 설치
2. 컴퓨터 이름 변경 : SRV1xx, SRV101, SRV102, SRV103
3. IP 주소 설정
4. 방화벽 : 운영체제 보안(네트워크 기반)
5. SnapShot
! 도메인 로그인 방법
: 계정명@도메인명
2. care.com\administrator
: 도메인명\
3. care\administrator
: 도메인명\계정명
! 로컬 로그인 방법
1. SRV100\administrator
: 컴퓨터이름\계정명
administrator
! 재 로긴 시 :
Ctrl + Alt + Insert
(Ctrl + Alt + Delete 를 해버리면 현재 작업중인 pc도 잠길 수 있으므로..,)
! 윈도우즈 명령어 : .cpl .msc
내일..,
DC : Domain Controller
SRV : 회원 가입 시킬거
=========================================
* 패스워드 변경
vmware 윈도우창 클릭> window+R: cmd
* VWware Tool 설치
sol 1>
VM 탭 클릭> Install VMware Tools...
sol 2>
vmware 윈도우창 클릭> window+E
해당 드라이브 더.클> 다음, 다음,.. > 다시시작 : 아니오
* 컴퓨터 이름 변경
이 외에 도메인 변경, 원격 설정시 올거임.
window+R : sysdm.cpl
윈도우즈 재시작>
* ip 변경
window+R : ncpa.cpl
서브넷 마스크 : 어디까지가 대역대인가 알려주는 값
기본 게이트 웨이 : 외부 통신 하는 경우 필요
기본 설정 DNS 서버 : 외부 통신 하는 경우 필요
cf. Active ~ <- DNS 필요!
* 방화벽
기본적으로 외부 접근 차단함.
이렇게 되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해줄 수 없음.
FW : 방화벽(FireWall)
WAF : 웹 방화벽(Web Application Firewall)
IPS : 침입 방지 시스템(Instrusion Prevention System)
IDS : 침입 탐지 시스템(Instrusion Detection System)
cf. 방화벽 IPS와 IDS
http://jihoon6078.tistory.com/27
window 방화벽 사용법
- Window + R : wf.msc
인바운드 규칙 : 데이타 받는거 (대부분 차단)
아웃바운드 규칙 : 데이타 나가는 거 (대부분 허용)
인바운드 규칙 클릭(default:차단)>
내용물 중 회색 : 차단
아웃바운드 규칙 클릭(default:허용)>
내용물 중 회색 : 허용
cf. 리눅스 : forward
지나가는 데이타들 검색
데이타가 외부서 들올 때 들어온 데이타 검색 하고 받아들일때,
or 데이타가 안에서 외부로 나갈 때 검토
<실습> pc 통신 가능하게 만들기!
1) 내 pc ip 셋팅 후
cmd : ipconfig
내 ip 제대로 설정 됬는지 확인
cf. cmd : ipconfig
169.254.x.x 뜨면 설정 제대로 안된거임!
2) 다른 pc ping 테스트
[cmd 창] ping 172.16.0.101 // 다른 pc ip 주소 치고 확인
3) 방화벽 열어주기
인바운드 규칙 클릭>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코요청 -ICMPv4-In) 오.버 규칙 사용함
(외부에서 들어옴 IN)
cf) 아웃바운드는 default로 허용이므로 손댈 필요 없음!
4)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 : vmware 하단 Network Adapter 더.클> host-only → Bridge로 변경
* SnapShot
* 컴퓨터 추가 설치
admin : administrator
password : P@ssw0rd
1. VMware Tool 설치
VM 탭 클릭> Install VMware Tools...>
내 PC > DVD 드라이브 더.클
2. 컴퓨터 이름 변경 : SRV1xx, SRV101, SRV102, SRV103
- 이름 : DC2xx
window+R : sysdm.cpl
이 외에 도메인 변경, 원격 설정시 올거임.
3. IP 주소 설정
- 172.16.0.2xx/24(255.255.255.0)
window+R : ncpa.cpl
cmd : ipconfig
C:\Users\Administrator>ipconfig
Windows IP 구성
이더넷 어댑터 Ethernet0: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9cf6:320a:d821:d867%12
IPv4 주소 . . . . . . . . . : 172.16.0.203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4. 방화벽 설정 및 통신 확인
cmd : ping 172.16.0.101
Window + R : wf.msc
5. SnapShot(백업)
* 이론 - 로그온과 인증
- 로그온과 인증도메인 로그온과 로컬 로그온 방법
- 도메인 로그온(NTDS)과 로컬 로그온(SAM) 방법 : 네트웍 통한 인증
- 엑세스 토큰 : 접근 위해 필요한 것?
1) 도메인 로그인 : NTDS
2) 로컬 로그인 : SAM
'BigData_Off1 > 윈도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2.20_6일차- ①저장된 쿼리②실습 (0) | 2018.02.20 |
---|---|
2018.02.19_5일차- ①쌤정리 파일②Review③명령어로 계정 생성,삭제 (0) | 2018.02.19 |
2018.02.14_5일차-OU가입| (0) | 2018.02.14 |
2018.02.13_4일차-1.DNS 설정|2.ADDS 구성|3. 도메인 가입 (0) | 2018.02.13 |
2018.02.08~02.09_1일차,2일차-OT(DC, AD, 윈도우 서버 설치) (0) | 2018.02.08 |